2016년 5월 10일 화요일

How could it be coincidence(Atlantis award)

How Could It Be Coincidence?

The stench was horrendous, as was the cold. Then there was the heat, enough to melt us into a watery puddle like the sap of aphids. But we hung on, not bent nor broken, for twenty months in that dark, oozing swamp. None of us thought we were going to make it. Nor was there anyone we could ask about why we had been abandoned there. We wouldn’t have known who to ask, anyway, even if we had mouths to ask with. But just when we were about to give up hope, that emotion that only presents itself under the most futile of guises, hope appeared. Something strong and flexible swallowed us all, and when we had come to we were inside the creature’s bowels. The first thing we did was to shed our cilia and grow new skin that would absorb nutrients easily. Nobody had told us to. We were simply compelled to do by some mysterious power. 

The snail was paying dearly for its first post-hibernation binge. The rich dung it had consumed must have been contaminated. It was feeling liverish, its insides queasily upset. It slowed down its feeding and all other movements, but to no avail.

It was a better place than before, that was for sure. It was dark, so there was no need for fear, and while not ideally so it was warm and moist enough. Made happy by small mercies, we decided to go through a cycle of benevolent transformations rather than self-harm or harm our brethren. Miracidium, sporocyst, redia, cercaria… Complicated names were attached to us. But were all those names really meant for us? We could not be sure, confused as we were by the multitudes of selves that poured out of ourselves. Who were we, we that were I, and I that were we? Perhaps we were gazing at the sky through a straw.  
Hampering as our multiplied state was, however, we found a certain comfort in numbers. The most obvious benefit was our long tails. Nobody knew what the tails were for, but we were thankful for them. And our gratitude was not in vain, for the tails helped us in our next adventure. With the tenacity of grinding an ax down into a needle, we whipped our fragile tails back and forth. Finally we broke through. We passed from the spring in the bowels to the lungs. It was a long and arduous journey and we lost a few brothers, but we made it in the end. Had we not already been through a situation where our hopes had gone from the merely hopeful to reality, we would have had a hard time making it.

After four months of suffering from the same symptoms, the snail nearly asphyxiated itself coughing up phlegm. Whatever it was that had been plaguing it was finally gone. Exhausted, the snail lay limp for a while, more dead than alive. The phlegm it had coughed up was teeming with countless tiny organisms, but the snail with its poor eyesight did not see them. Relieved that its discomfort was over, the snail slowly lurched off, leaving behind a world of things it had no interest in exploring.    

Outside, we were greeted by fresh air. The sun shared its rays equally with all living things, whether they lived a day or a hundred years. We allowed ourselves to forget for a moment the harsh reality that lurked around the corner. The world was a peaceful place.   
Reality would not wait for us, however, and we were soon sucked into an even narrower and darker place than before. There was even less room and the stench was worse than ever. But somehow we were reassured that we were going where we had to go. There was peace in surrendering to the mysterious power that was leading us so far. 

The ant slurped up the sticky stuff without thinking. The white foam was sweeter than anything it had ever tasted. So foreign was this sensation of bliss, the ant even forgot to report to its superiors. For the first time in a long time, it felt completely nourished. Its mouth was filled with the smell of snail, a concentrated source of protein. Eating the snail itself and taking some back to the nest would have been better, but it could not have managed that by itself. The ant satisfied itself with the fact that the foam it was eating tasted almost exactly like snail. The world was a better place when one appreciated the attainable over the remote. 

Soon, however, it became obvious that we would have to move on to another place. We did not know much about revolution or progress, but electing a leader seemed about the same thing to us. Like an awl poking out of a pocket, he stood out without trying, and we naturally gravitated towards him. Confident in himself, he made a worthy leader. We gave him all the credit for us having arrived safely in the new place, entrusted him with control of everything, and went off to seek an appropriate place to recuperate from the toll the journey had taken on our health. Two months, minimum. The leader would have to tame our new host within that time.   
It was not an easy task. Our leader focused on conveying his thoughts to the host so he might control it at will. It was rough going, more so than any form of ancient asceticism. From his place close to the host’s head, the leader trembled from the effort of controlling the creature. We were in a harsh place. Not nearly enough food, and not enough space, either. As we grew hungrier, doubt began to gnaw at our minds. Why must we move on to another place? Would we be free of this hunger and thirst there? And would we finally be at peace, free of niggling cares? All of this was wearing us down, driving us to distraction.         

On the night of a full moon, an ant uncharacteristically broke rank. As if in its sleep, it crawled up a nearby blade of fresh, soft grass. The closer it reached the moon, the greater the danger of exposure, but the ant seemed beyond such concerns. Its strong mandibles clamped down on the blade of grass. And there it stood like a statue until sunrise.

Our leader finally succeeded in sending the host back to its colony. Too much exposure to direct sunlight not only threatened to burn the creature, but to melt us as well. And should the creature be discovered breaking rank, it would be torn to pieces. For us it meant that life and death hung on a matter of seconds, a few millimeters. To say that our nerves were on end was an understatement. As the saying goes, burnt on hot soup, blow on cold salad. But we could not afford to take chances in that situation. We were praying, somewhat contradictorily, that the creature would lose its mind but not go too mad.

At nightfall, the ant broke rank again to crawl up a blade of grass. A passing ant looked around, sensing something odd, but failed to detect the rogue ant. The whispers of the stars and moon and wind passed slowly. How it had come to be dangling on a blade of grass, its body completely stiff, the ant had no recollection. The details of the situation eluded it, much as the everyday details of life remain forgettable for the most part. Was it really the ant itself that was dangling on that blade of grass? Was it really its strong jaws that were holding onto the blade? Everything was a haze.     


As we could not let go of the tiger’s tail that was already in our hands, we took a chance. Our leader continued to occupy the host for a long time after the sunrise. The rest of the colony, as dull as their lost comrade, appeared to be unaware that one of their number had disappeared. They took no notice of the creature that had broken rank, falling into formation like always.
It was getting hotter and hotter. A number of us turned on the leader, their disappointment all the greater for having expected great things from him. Betrayal always comes from within. One of our brothers began crawling towards the leader from his spot not too far away. He insisted that we had to move the creature away from the heat at least for a short while. We didn’t want to kill the ox by trying to straighten its horns, the traitor appealed to us. But even if the creature moved away from the heat, it would not keep us from starving. We did not know which side to support. The leader kept unfailingly calm. Follow me. We knew now that those words were uttered without conviction. If anyone, it was himself the leader was trying to convince, we thought.
In the end it came down to a fight between the leader and the traitor that had challenged him. The rest of us watched listlessly as they duked it out. Their fight was not so much against each other, but against the immeasurable force that was crushing us all. What was the use? We were teetering on the brink of no return. A match to the death. But at that instant, we were suddenly sucked into a dark, cavernous passage. 

The careless young ewe had committed the mistake of grazing grass before sunrise. She had completely missed the tiny ant holding onto said grass for dear life, of course. Not a shadow of self-recrimination ever crossed her mind, however, as she savored the fragrance of the delectable herbs. She champed rapidly on as much of the tender, sweet grass as possible before the other sheep woke from their sleep. The early bird catches the worm! But perchance the early bird is also prey for the early hunter. It was of no consequence to the ewe at that point, by all means.   

The place where we found ourselves was like finally coming home again. Slippery and intimate, just the way we liked it. We raised a glass in celebration, remembering days of hardship now safely in the past. There was much feasting, drinking, and dancing. Finally we began mating with ourselves, wiggling our newly leaf-shaped bodies suggestively. All of us were hermaphrodites.      
A glow of satisfaction hung in the air as we lay back, sated. We had had a narrow escape from being squashed to death and saw no reason not to celebrate. Our leader and the traitor that had challenged him all became part of us again. No longer did we fear the harsh reality lurking around the corner. That being said, however, we could not free ourselves completely from a sense of melancholy at not knowing who we were, where we came from, and where we were going.  

We knew what we had to do to resolve both our satisfaction and loss. There was no other way. 

We had to lay eggs. Shuddering all over, we caught sight of someone who had not been with us on our journey, but resembled us in every way. Our eyes met and he was smiling, no matter that he had no mouth or facial muscles to smile with. How could all of this be just coincidence? He asked, holding our gaze. Without needing to be told, we knew that he had given birth to us, and that he was another form of us that had never left that place. That was it. Our scientific name was Fasciola hepatica, also known as the common liver fluke. Twenty thousand eggs seethed within us, ready to exit our bodies. Eggs that would go through everything that we had and would perhaps come back to meet us again, their other selves.

We looked no more at the one who had been us before us. Right now, the only thing of importance was to see that the eggs made their way out safely. We were past recalling any time, place, or event. We could only push with all our might. Ah, life! The eggs hurried away from us every which way, without even saying goodbye. We wept, for all that we had no eyes or tear ducts to weep with. We could not think that all of this could possibly be just coincidence.     

2015년 8월 7일 금요일

따귀를 낳았고



따귀를 낳았고

심아진



간호사의 뺨에 짝, 소리를 만들며 내가 등장한 순간, 어수선하던 병원이 일시에 조용해진다. 이상한 균질감이 크지 않은 실내를 차분하게 정돈한다. 신문지를 접었다 폈다 하며 절도 있게 손을 놀리던 노인과 도사린 쥐처럼 몸을 옹송그리고 있던 중년의 여성, 그리고 방전된 휴대폰을 아쉬운 듯 만지작거리던 학생 등이 모두 미세하게 움직여 소리가 난 쪽을 바라본다. 원체 부끄러움을 타지 않는 나지만 예상을 뛰어넘는 정적에 적잖이 당황한다. 수습하기에는 이미 늦어버린 사태에 대해 은선은 겨우 한 음절을 뱉어냈을 뿐이다.

“…말.”

나는 은선이 무슨 말을 하고 싶어 하는 지 안다. 바로 그것 때문에 은선은 느닷없이 나와 맞닥뜨려 버린 것이다. 간호사의 왼쪽 뺨에 나의 흔적이 또렷이 남았다. 안 그래도 죽을상이던 간호사의 얼굴은 당황과 분노로 더욱 밉게 일그러져 있다. 은선은 말을 뱉어내기 위해 애를 쓴다. 하지만 소리가 올라오는 통로 어디쯤이 솜으로 틀어 막혀 있기라도 한 듯, 애꿎은 목만 주물러대고 있다.

“지금 뭐 하는 거야? 나한테 왜 이래? 왜?”

한쪽 뺨이 벌겋게 부푼 간호사는 완전히 평정심을 잃었다. 아마도 꽤나 모욕적이었을 나의 기습. 삼천 사백 원, 결제, 처방전 따위를 끊어 말하던 단호한 모습은 온데간데없다. 누군가의 동조를 호소하는 억울한 음성이지만, 위로 비슷한 것이라도 해 줄 수 있는 사람은 없어 보인다. 동료의식을 가졌을 법한 다른 간호사는 진료실에 들어가 있으니 소란을 알지 못하거나 알아도 나오지 못하는 것일 게다. 독감이나 장염에 지친 환자들이 간호사를 도와줄 수도 없는 듯하다. 은선의 행동에 동조하는 것인지, 아니면 몸이 너무 아파 참견할 힘이 없는 것인지 환자들 대부분은 두 사람을 멍하니 쳐다보고 있을 뿐이다. 그들은 빨개진 간호사의 뺨과 그에 못지않게 붉은 은선의 뺨을 번갈아 바라보고 있다.

저런!

너무 늦었다 싶은 탄성 하나가 어디선가 흘러나온다. 하지만 모호한 감탄사는, 제대로 된 호응을 얻지 못했을 때 빠르게 사라지고 마는 자의식처럼 순식간에 공기 중으로 흩어지고 만다. 은선은 거칠게 자신을 폭발시켰던 순간의 호기를 모두 잃었는지 침울한 표정을 짓고 있다. 지난밤부터 떨리던 다리가 점점 더 심하게 떨린다. 나는 은선이 갑작스레 나와 조우하게 된 것이 감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침을 넘길 뿐인데도 지저깨비들을 삼키기라도 하는 것처럼 깔끄러운 목과 뭉근히 달여지고 있는 듯한 달뜬 몸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도저히 통제할 수 없는 두통. 감기가 아니라면 여태 세심하게 나의 접근을 살폈던 은선이 그렇게 한 순간에 무너지지는 않았을 것이다. 은선은 나 때문에도 놀랐지만 방심한 자신에게 더 경악한다. 나는 오히려 차분한 기분으로 내가 만들어낸 것들을 지그시 응시한다. 가닥가닥 닳고 해어진 따귀의 아우라.



은선과 나는 많은 날을 함께 해왔다. 그녀가 철없었을 때, 사춘기였을 때, 세상의 썩은 내와 단내를 구별하기 시작하였을 때, 언제나 내가 같이 있었다. 그러나 은선은 내가 소탈하게 그녀를 대하는 것과는 달리, 나를 친근하게 여기지 않았다. 그녀는 언제나 반쯤 겁에 질린 얼굴로 나를 보았고, 곧 도망 가버릴 듯한 자세로 거리를 두었다. 은선은 나를 알고 있으면서도 모르는 척 했고, 모르는 척하는 것이 반드시 편해서 그런 것만은 아니라는 듯 침울해 했다. 그러니 오늘 병원에서 은선이 취한 행동은 하나의 작은 혁명이었다. 완만하게 올라가던 혹은 내려가던 곡선이 느닷없이 방향을 틀게 되는 어떤 지점에서, 미분할 수 없는 세상을 마주한 것과 같았다. 어쩌면 은선은 낙인을 찍기라도 하려는 듯 잔혹해진 시간을 더 이상 상대할 수 없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나는 은선이 어려서 외로운 것인지 외로워서 어린 것인지 가늠할 수 없는 시기에 처음 그녀를 만났다. 은선은 또래와 잘 어울리지 못하는 일곱 살 꼬마였다. 나이와 상관없이 우르르 몰려다니던 다른 아이들과 달리 은선은 늘 무언가를 따지는 듯 혹은 무엇엔가 토라진 듯 외따로 혼자 있었다. 아직 누군가를 괴롭혀서 얻는 기쁨 같은 것을 모르는 아이들은, 특별히 심심할 때만 멀리 떨어져 있는 은선을 눈여겨볼 뿐이었다. 그들 중 수고롭게 은선을 불러들이려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은선은 아직 한 번도 끊어진 적이 없는 새 고무줄뭉치를 들고서 사람보다 많은 나무들 사이를 쏘다니곤 했다. 은선의 동네는 사월이면 벚꽃들이 뭉게구름처럼 풍성하게 부풀어 오르곤 하는 곳이었다. 그러나 꽃은 아쉽게도 너무 빨리 사라져버렸다. 동네 아이들의 이와 입술은, 빨리 진 꽃을 보상이라도 하듯 금방 익는 열매 때문에 독처럼 까매지곤 하였다.

동네가 끝나는 오르막길 중턱에 해병대의 초소가 있었다. 은선은 돌멩이 몇 개를 모아 고갯길 모퉁이에 쪼그리고 앉아 놀면서 자주 초소를 바라보았다. 반들반들한 모자를 쓰고서 철문 앞을 지키는 군인 아저씨 때문이었다. 치렁치렁한 어깨장식과 가슴에서 반짝이는 배지들이 멋있게 보였다. 은선은 그의 몸에 붙어 있는 별이며 화살표, 네모 등을 땅에 그리며 반나절을 보냈다. 미동도 않을 것 같던 헌병은 이따금 하품을 하거나 하늘을 바라보며 한숨을 쉬었다. 그런 군인을 따라 은선도 여러 번 하품을 하면서 하늘을 바라보다 한숨을 내쉬다 하였다. 은선과 작은 돌멩이들의 그림자가 점점 짧아져가고 있었다.

며칠이 지났다. 똑같이 해가 움직이고 그림자가 짧아지는 시간에 은선은 벌떡 일어나 헌병에게 다가갔다.

아저씨,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나요.

앳된 얼굴의 젊은이는 놀라서 은선을 쳐다보았다.

버찌 좀 따주세요. 아저씨는 키가 크잖아요.

주변은 벚나무 천지였다. 초소로부터 올라가는 길을 따라, 또 내려가는 길을 따라 다양하게 굽은 나무들이 열을 지어 있었다. 나무의 열매에서 나는 달금한 향기가 사방에 진동했다. 은선은 멀쑥한 헌병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자 손이 닿지 않는 벚나무 가지를 향해 깡충 뛰며 야, 야 소리를 내었다. 스스로의 용기에 감탄하면서도 너무나 부끄러워, 은선의 얼굴은 잘 익은 열매만큼 검붉어졌다.

헌병은 한 동안 은선의 제자리 뛰기를 지켜보았다. 나뭇가지 사이에 숨어 있던 작은 새들이 꼬마가 성가시다는 듯 멀지 않은 곳으로 자리를 옮겼다. 막 더워지기 시작하는 무렵이라 은선의 이마에 땀방울이 송송 맺혔다. 이윽고 헌병이 손을 움직였다. 하얀 장갑을 벗은 맨손이었다.

자, 이만큼이면 되겠어?

은선은 헌병에게 바짝 다가가 손바닥에 놓인 열매 몇 개를 헤아려 보았다. 그의 어깨와 가슴에 달린 알 수 없는 기호들을 살짝살짝 곁눈질 하면서.

고작 여덟 개인데요?

헌병은 조심스레 주위를 살핀 뒤 가까이 있는 나뭇가지에 이리저리 손을 뻗었다. 너무 익은 열매는 그의 손이 닿자 따기도 전에 터져 버렸고, 너무 단단한 열매는 은선의 야무진 판단에 따라 버려졌다. 적당히 무르고 적당히 달콤한 열매를 모으기는 쉽지 않았다. 무표정하기만 하던 헌병의 얼굴에 미소가 감돌았다. 은선의 작은 손에 수북이 열매가 모였다.

와, 많다!

은선이 감탄을 하는데, 느닷없이 철썩 소리가 났다. 물론 그 자리에 있었던 것은 나였다. 조마조마해하며 둘을 지켜보던 나는 헌병의 상관이 다가오는 것을 예민하게 감지하고 있었다. 상관은 씩씩대고 있었으므로 젊은 헌병이 혼쭐이 날 것은 분명해 보였다. 하지만 나는 꼬마 은선에게도 그에게도 상황을 알려줄 수 없었다. 그럴 입장이 못 되었다. 사실 은밀하게 나를 불러낸 것은 헌병의 상관이 아니라 은선과 헌병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무력한 자신을 탓했지만 무력한 것이 내 탓만은 아니라는 것 또한 모르고 있지 않았다. 사실 은선과 헌병은 적절한 조심성을 발휘하여 나를 몰아낼 수도 있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다. 아마도 그들이 지나치게 버찌 따는 것에 몰입했고, 너무 순수하게 햇살을 즐긴 탓이었을 것이다. 나는 다만 그들과 함께 있으면서 일 초, 일 초가 절도 있게 드러눕는 것을 바라보았을 뿐이다. 상사는 헌병의 뺨을 정확하게 겨냥했다. 나라고 경악하는 그 자국, 나임에 틀림없다고 침을 뱉는 그 흔적이 젊은 군인의 볼에 또렷이 찍혔다.

근무 중에 뭐하는 거야?

상사의 군화가 연달아 헌병의 정강이를 강타했다. 은선은 양손에 있던 버찌를 어설프게 모아 쥐고 달리기 시작했다. 경황이 없는 중에도 버찌를 손에서 놓을 수 없다는 악착같은 마음이 함께 달렸다. 겨우 일곱 살인데 정신이 아득해지는 것이 어떤 것인지 알 것 같았다. 은선은 헌병을 엿보던 고갯길 모퉁이를 돌아 급히 몸을 숨겼다. 은선은 사납고 잔인하게 날뛰는 나의 소리를 들었고, 무력하기 짝이 없는 군인의 신음 소리를 들었다. 어린 은선은 자신의 뺨이 얼얼해지는 것만 같았다. 작은 손에 힘이 들어가자 물러진 버찌들이 터지기 시작했다. 붉고 검은 과즙이 손가락을 따라 흘러내려 옷을 적시고 땅을 적셨다. 부산스럽던 새들이 갑가기 조용해졌고, 짝짝거리는 소리만이 비현실적으로 울렸다. 은선은 너무 무서워서 눈물도 나오지 않았다. 자신이 헌병 아저씨를 구해야만 할 것 같은데 그럴 수가 없어서 화가 났다.

은선은 나무 열매를 꼭 쥐고서 이 모든 일들이 지나가기를, 애초부터 아예 일어나지 않은 일이기를 빌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제 탓이 아니기를 바랐다. 은선이 태어나기 전부터 벚나무는 가지를 뻗었고, 꽃눈을 흩날렸으며, 향을 뿜었을 터였다. 그런 것은 은선이 그렇게 하도록 혹은 되도록 명령하거나 부탁한 일이 아니었다. 결코.

어린 은선은 이해할 수 없었다. 어째서 그 순간에 내가 나타난 것인지, 어째서 버찌를 땄을 뿐인 아저씨가 물러진 버찌 열매보다 못한 취급을 받는 것인지 알 수 없었다. 가리사니를 잡지 못하는 은선의 눈에 나와 함께 범벅이 되어 쓰러진 군인의 모습이 보였다. 은선은 더 이상 견딜 수가 없어 전속력으로 집을 향해 달렸다. 양 손을 지저분하게 물들이고서, 정성스레 갖고 있었던 모든 것을 버려둔 채였다. 일곱 살 꼬마는 결코 달콤하지만은 않은 버찌 한 움큼의 세상을 제대로 느끼며, 달리고 또 달렸다.



간호사는 새록새록 화가 나는지, 은선의 어깨를 거칠게 떠다민다.

“나한테 왜 그러냐니까?”

간호사는 끝까지 존댓말을 쓰지 않는다. 은선의 다리는 진동 청소기에 연결이 되 있기라도 한 듯 아까보다 더 심하게 떨린다. 머리는 타오르다 숫제 날아가 버릴 것만 같고, 귀에서는 끝없이 이명이 울린다. 은선은 소리를 만들어내기 위해 애를 쓴다. 말해야 한다. 아프고 힘들고 먹을 만큼 나이를 먹은 사람에게 간호사가 되지 않게 반말을 써서 그랬다고 말해야 한다. 간호사도 의사도, 병원의 그 어떤 사람도 자신이 왜 아픈지, 언제쯤 나을 수 있는지에 대해 친절히 설명해 주지 않았다고 항의해야만 한다. 하지만 은선의 성대는 또 다시 겨우 한 음절을 뱉어냈을 뿐이다.

“…말.”

어른들의 다툼에 호기심을 느낀 사내아이가 다가와 두 사람을 빤히 올려다본다. 점성이 강한 누런 콧물이 아이의 코와 입술 사이를 들락날락하고 있다. 흐리멍덩한 아이의 눈이 간호사와 은선에게 번갈아 고정된다. 은선은 할 수만 있다면 빨개진 얼굴을 둘둘 말아서 점퍼 주머니에 쑤셔 넣고 싶다.

나는 간호사와 은선의 사이 적절한 공간에서 부끄러움과 모멸감, 증오심 등을 적절하게 뒤섞는 중이다. 허섭스레기 같은 치기일 뿐이지만 잘만 포장하면 거룩한 분노로 보일 때가 있다. 결국 거기서 거기인 환멸이라도 고상한 체 하는 역설이 될 수도 있다. 나는 가능하면 기분을 드러내지 않고 덤덤하게 내 일을 한다. 오해를 이해로, 진짜 이유를 가짜 변명으로, 책임감 없는 즉흥성을 우연하지 않은 필연성으로 바꾸기도 한다. 결코 내게 휘둘리지 않겠다고 다짐했던 은선은 그 다짐이 아무런 소용도 없는 것이었던지 엄청나게 흔들리고 있다.

간호사는 대답하지 않는 은선이 대답하지 않음으로써 자신을 더욱 모욕하고 있다고 여기는지 화를 주체하지 못한다. 맞은 간호사는 때리기라도 한 사람처럼 의기양양하고, 정작 때린 은선은 죄지은 사람처럼 시르죽어 있다. 사실 내가 나선 곳에서 주객이 전도되는 일은 흔하다. 누군가의 자긍심이 비슷한 정도의 자격지심으로 바뀌기도 하고, 파죽지세의 기력이 하찮은 객기 따위가 되기도 한다.

나는 모든 것이 될 수 있다고 떠세를 부리면서 실상은 아무 것도 되지 않은 채 떠돌아다니는 것을 좋아한다. 물론 내가 좋아한다고 해서 선택을 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나는 어쩌면 아무것도 결정할 수 없기에 잠시라도 상황을 즐기는 쪽을 택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내가 하도록 되어 있는 일을 해야만 하기에, 그저 ‘좋아한다’는 말로 어쩔 수 없는 비애를 무마시키고 있을 뿐인지도 모르는 것이다. 무력감에 젖은 채, 나는 은선과 간호사의 사이에 길게 드러누웠다. 어찌되었든 은선은 결국 이 순간을 피할 수 없었을 것이다. 오늘이 아니었다면 내일, 올해가 아니었다 하더라도 어떤 한 해에 반드시 이런 나를 정면으로 마주할 수밖에 없었을 터이다. 나는 은선이 이해할 수 있게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필연의 지점에서 손톱을 물어뜯고 있을 수밖에 없는 나, 결국 이쑤시개만큼의 가느다란 저항도 할 수 없는 나를 말이다.



은선은 한 차례의 경험으로 지극히 현실적인 아이가 되었다. 사춘기가 가까워지는 나이임에도 나와 마주칠 만한 일은 아무것도 만들지 않기 위해 애를 썼다. 신비롭거나 극적인 일들이 감성을 건드리기라도 하면 큰일이 난다는 듯이 멀찌감치 피해 다녔고, 조신하게 또박또박 걸을 수 있는 길에서 결코 벗어나려 하지 않았다. 은선은 나를 두려워서 피하는 게 아니라 더러워서 피한다는 듯 약게 굴었다. 그녀는 나를 없다고 생각하면 없을 수 있다고 여겼으며, 실상 없지는 않더라도 얼마든지 없는 것으로 치부할 수 있다고 확신하는 듯했다. 그래서 늘 내 어깨를 툭 밀치고 지나쳐버리거나, 거추장스러운 거적때기처럼 나를 발로 차버리곤 하였다. 나로서는 자존심이 상하는, 몹시 당황스러운 일이었다. 하지만 끈질긴 것 하나 빼고는 내세울 게 없는 나로서는 은선의 홀대 따위에 움츠러들지 않았다. 미뤄지고 감춰지고 그 어떤 수모를 당해도 나는 내가 있어야 할 곳을 찾아 반드시 나타나고야 말기 때문이다. 매번 인식하기에는 너무 사소하지만 그렇다고 무시할 만큼 미미하지도 않은 적절한 무게감을 가지고, 나는 조심스럽게 은선의 주위를 맴돌았다.

열네 살 은선이 드디어 자신과 가장 친한 친구 사이에 나를 두게 되었다. 물론 은선이 나를 완벽하게 의식한 것은 아니었다. 나는 짙은 안개처럼 은선의 주변을 감싸고 있었다. 안개는 멀리서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게 하지만, 가까이에 있는 것들은 늘 웬만큼 보이게 한다. 그리하여 선명하지는 않아도 있는 것임에 분명한 나는 뚜렷하게 보이는 다른 어떤 것들보다 더 위협적인 것이 되었다. 은선은 안개 사이로 나와 눈이 마주칠 때마다 공포에 떨곤 했다.

은선은 친구가 좋아하는 남자 아이가 자신을 좋아하고 있다는 것을 모르지 않았다. 그러나 은선은 자신이 자초한 일이 아니므로 스스로 무죄하다 여겼다. 남자 아이가 애가 닳건 말건, 친구가 안절부절 속을 끓이건 말건 괘념치 않았다. 안개 속에서 비교적 뚜렷하게 내가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은선은 그런 일은 친구와 남자 아이 둘이서 알아서 할 일이라고만 생각하였다.

어쩌면 은선은 아무런 행동도 취하지 않는 것이 친구를 위하는 것이라고 여겼는지 모른다. 자신이 헌병에게 다가간 일로, 그가 짐승처럼 맞았다는 사실이 너무 무겁게 은선의 어린 날들을 짓누르고 있었기 때문이다. 은선은 외면하는 것만이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이라 여겼다. 하지만 그 때문에 남자 아이는 몸이 더 달았고, 친구는 그 탓을 은선에게로 돌렸다.

그리고 결국 나는, 가장 적절한 순간에 또 다시 나타나고야 말았다. 학급 회장이었던 친구는 체육 수업 준비를 위해 줄을 세우고 있었다. 은선은 열을 맞추려는 친구의 권유를 가볍게 여기며 다른 친구와의 수다에 열중했다. 은선은 친구가 자신에게 정작 무엇을 원하는지 잘 알고 있었다. 하지만 그것은 은선이 줄 수 없는 것이었다. 은선은 친구가 나약하고 비굴하다는 것에 화가 났다. 무기력하게 맞기만 했던 헌병처럼, 친구도 바보 같은 짓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은선은 한편으로 친한 친구를 잃고 싶지 않았다. 친구가 자신을 줄 세우기 위해 다시 한 번 팔을 잡아당길 때만 해도 아주 조금만 더 심통을 부릴 생각이었다. 자신에게 서운해 하는 친구에게 그저 심하지 않은 경고를 해주고 싶었을 뿐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은선은 십대의 우정 따위는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만들 수 있는 나의 힘을 지나치게 무시하고 있었다. 그녀는 그 순간에 내가, 응축되어 있던 내가 튀어나올 수 있는 가능성을, ‘설마’라는 허세로 눌러버렸던 것이다.

친구가 한 번 더 은선을 잡아당겼다. 알았어. 알았다니까. 은선은 친구의 얼굴을 마주하지 않으려 애를 쓰느라, 완전무장을 한 채 솟구쳐오를 준비를 마친 나를 미처 보지 못했다. 친구가 신경질적으로 또 다시 은선의 몸을 잡아당겼을 때였다. 뿌리치려는 은선의 손톱이 친구의 맨 살을 아프게 긁었다. 정교한 그 순간, 나는 친구의 손바닥에서 은선의 얼굴까지 몸을 길게 뻗었다. 어쩌면 은선의 얼굴에서 친구의 손바닥으로 몸을 뻗었는지도 모른다. 아무튼 그 짧은 시간, 우리 모두를 둘러쌌던 안개는 걷혔다. 노련한 채찍의 포효처럼 가차 없는 소리가 났다. 친구도 은선도 모두 경악했다. 친구는 처음으로 나와 맞닥뜨려 놀랐고, 은선은 왜 또 자신이 나와 엮였는지를 이해하지 못해 얼이 빠졌다.

친구가 어찌나 정확하게 겨냥을 했든지, 나는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은선의 뺨에 가 붙었다. 은선은 허랑방탕한 탕자처럼 무기력하게 나가떨어졌다. 그냥 고개만 꺾인 것이 아니라 몸 전체가 꺾였다. 그녀가 푸른 인조 잔디 위에 철퍼덕 쓰러지자, 친구는 곧바로 교실로 달려갔다.

높은 푸른 하늘과 넓은 초록 잔디 사이에 내가 있었다. 아이들이 온통 나를 바라보는 터에, 나는 황망하게도 외로웠다. 하지만 나는 십자가에 달린 예수처럼 발가벗겨진 나를 드러낸 채 뻔뻔한 시간을 견뎠다. 견디는 것만이 유일하게 내가 잘 하는 것이었으므로 나는 부끄러워하지도 않았다. 은선과 눈이 마주쳤다. 그녀는 원망어린 눈길로 잠시 나를 노려보다가 세게 발로 밟았다. 믿을 수 없는 힘이었다. 관절이 으드득거리며 부서지는 소리가 났다. 하지만 이미 나는 나의 일을 했고 누구도 그 일을 되돌릴 수는 없었다. 나는 그게 내 탓은 아니라며 찔끔, 눈물을 흘렸다. 친구와 은선의 우정은 심하게 말라 갈라지고 깨진 찰흙처럼 못 쓰게 되고 말았다.

절뚝거리며 눈물을 흘리는 나를 보는 은선의 시선에, 자기연민이 더해진 자조의 웃음이 서렸다. 그녀는 자신이 가졌던 하찮은 것, 언제든 잃어버릴 수 있는 그것들에 실망하였고, 아울러 그런 것들을 놓치지 않은 나를 경멸하였다. 나는 이 모든 일들이 결코 내가 의도한 바가 아니며 나 역시 피해자일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 싶었지만, 그럴 수 없어 안타까웠다. 표독스러워진 은선으로 인해 나는 초라해졌고, 얼마간 저열한 것이 되었다. 허무해진 나는 그대로 사라져버리고 싶었으나 그것 또한 내게 허락된 일은 아니었다. 겉으로 보이는 질타의 눈초리와는 달리 그녀가 나를 간절히 붙잡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했다. 은선은 나를 잘 몰랐고 나를 좋아하지 않았지만, 나를 놓아주려 하지는 않았다. 자신이 나를 부여잡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았지만, 결코 내가 떠나버릴 수 있도록 길을 내주지도 않았다. 그렇다. 나는 사실상 은선에게 꼭 필요한 존재였던 것이다.

자신을 지키고 싶을 때 내가 있다. 하지만 지켜낼 수 없을 때도 내가 있다. 스스로가 부끄럽다는 것을 인정하고 싶지 않을 때, 뚜렷하게 탓할 만한 대상이 없을 때, 그리고 알량하게 저울질 했다는 것을 들키고 싶지 않을 때도 내가 있다. 그러므로 나는 발차기나 주먹질과는 다른 내 본연의 형태로 어벌쩡하게 뛰어나오곤 한다. 순수한 폭력과 달리 나는 종종 비겁해진다. 그 자리에 내가 있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인지 모를 때, 나는 비웃거나 애도하면서 엉너리를 치기도 한다. 나는 결과가 아니라 원인이 되기도 하며 오지랖 넓게 여기와 저기를 두루 간섭하기도 한다. 나아가서 나는 손으로부터 뺨이 아니라 뺨으로부터 손으로도 이동해가며, 시간을 거스르고 공간을 넘어서 하나의 기원으로도 향하는 것이다. 나는 자신의 창자를 끊어내서 기꺼이 줄넘기를 하는 광대가 된다. 울고 웃으면서 자식을 잡아먹는 사투르누스가 된다. 스스로에 대한 혐오와 우주의 끝까지 펼쳐진 비애 사이에서 나는 아주 잠시 약해졌다가 영원토록 강해진다. 그리하여 횃불이 화려하게 타오르고 어두움이 농밀하게 응축된 지점, 다른 가능성을 생각할 수 없는 첨예한 지점에서 나는 숨을 딱 멈추고 긴장하곤 한다. 긴장이 계속되는 한 나는 늘 살아있다.



진료실에서 의사와 간호사, 그리고 막 진찰을 마친 환자가 나온다. 은선은 아직 지갑에 넣지 않고 있었던 신용카드를 간신히 챙겨 넣고 점퍼의 지퍼를 올린다. 한기가 들면서 다리의 떨림이 온 몸으로 번져온다. 의사가 정중하게 묻는다.

“무슨 일이시죠?”

그래, 그렇게 존댓말을 써야지. 은선은 시종일관 반말로 일관했던 간호사를 노려본다. 처방전. 싸인. 여기. 은선은 간호사의 무례한 태도에 모욕감을 느꼈다고, 아니 죽이고 싶은 증오를 느꼈다고 말하고 싶다. 아파서 의기소침해진 환자들을 찍어 누르는 듯한 태도가 될 법이나 하냐며 따져 묻고 싶다. 그녀는 나와 만날 수밖에 없게 된 상황에 대해 천 가지 쯤 이유를 만들어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자신은 무력했을 뿐이라고 변명을 하고 싶다. 하지만 입술과 연결된 모든 기관들이 고열에 눌러 붙기라도 한 듯 기능을 하지 못한다. 소리는 목 아래 깊은 곳에서 길을 잃었음에 틀림없다.

은선에게서 대답을 듣지 못하자, 의사는 엄한 얼굴로 간호사를 채근한다.

“김간호사, 무슨 일이야?”

간호사는 기다렸다는 듯이 목소리를 가다듬고 상황을 이야기한다. 하지만 간호사가 설명할 수 있는 정황이랬자 ‘계산을 해달라고 리더기를 내밀었을 뿐인데 갑자기 뺨을 맞았다’는 것이 전부다. 은선이 말을 하지 않으니 간호사의 목소리는 점점 커져간다. 이상한 환자. 이유. 갑자기. 억울한. 내가 지녔던 애초의 의미는 점점 작아지고 궁색해진다. 나는 턱없는 폭력 한 조각이 되고 만다. 한심하게도 은선은 간호사의 변명에 조금씩 동조하고 있다. 그래, 그렇게까지 할 것까진 없었잖아. 은선은 간호사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을 듯한 자신을 이해할 수가 없다. 그러나 사실 은선은 어떤 것을 이해한다기보다 형식과 의미의 층위 사이사이에 자리 잡은 이해의 두께에 질려 있을 뿐이다. 은선은 점점 작게 웅크린다. 소심한 그녀의 이해라는 것은 밖으로 모험을 감행해 뻗어나가기보다 안으로 쪼그라들어 완벽히 숨어버릴 수 있기를 원한다. 그녀는 매우 쉽게 나를 다시 외면할 수 있으리라, 심지어 나를 한 번도 본 적이 없었던 것처럼 의연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나를 그저 사소한 짜증이나 예민함으로 취급하면서 간호사에게 사과를 한다면, 언제 나와 마주쳤냐는 듯 고요하게 살 수 있을 것이라고도 생각한다. 나만큼이나 은선은 고집이 세고 또 한심할 만큼 여리다.

그러나 그녀는 곧 알게 될 것이다. 내가 이 골목 저 골목 아무데서나 나타났다 사라지는 시시껄렁한 무뢰배가 결코 아니라는 사실을. 내 연민과는 별개로 나는 언제나 있어야 할 그 장소, 정해진 그 시간에 나타날 뿐이다. 어쩌면 나는 필연과 같은 것인지도 모른다. 나는 누군가가 살아내고 싶어하는 모순 가득한 세상에서 끝까지 곁을 떠나지 않는 신의 있는 동반자이다. 그러므로 나는 결코 은선을 떠날 수 없고, 은선 역시 나를 떠나보내지 않을 것이다. 그럴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은선은 여전히 나의 머리카락 한 올, 신발 끈 한 가닥만을 보고 있을 뿐이다. 내가 순환하는 길에서 뺨, 혹은 손은 사소한 거스러미에 지나지 않으며, 신경증이든 진지함이든 그저 부분적인 이유일 뿐이라는 사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아무래도 좋다. 어쨌거나 나는 여전히 은선의 옆에 있고, 지금은 그것만이 가장 중요하다.



친구와 절교한 후 은선은 자신이 아무 짓도 하지 않으려 기를 썼음에도 불구하고 끝내 다시 나와 마주치게 되었다는 사실 때문에 실의에 빠졌다. 군인 아저씨도 친구도 모두 나로 인해 잃은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았다. 은선은 더욱 의기소침해졌고 한층 자신감을 잃었다. 무언가를 해도, 하지 않아도 자신과 상관없이 움직이는 무심한 하루하루의 기세에 눌렸다. 은선은 살아있는 것 같지 않은 무미건조한 고등학생이 되었다. 그녀가 단호한 태도를 보이는 상대는 오직 나뿐이었다. 그렇게 나를 무시해도 내가 없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은선은 결코 인정하지 않았다.

하지만 은선은 결국 또 다시 나를 마주해야만 하였다. 역사 선생을 좋아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고교 소녀가 선생님을 좋아하게 되는 것은 사실, 내가 있건 없건, 나를 의식하건 않건 상관없는 일이다. 조심해서 되는 일도 아니며, 눌러서 막아지는 것도 아니다. 은선은 스스로의 사랑을 결코 풋사랑이라 여기지 않는 조숙한 열아홉 살이 되어 있었다. 그녀는 나를 거의 잊은 듯 보였다.

은선은 역사 선생의 눈에 조금이라도 더 띄고 싶어서 학급의 회장이 되었다. 그녀는 식욕 왕성한 여고생들이 도시락 여는 시간을 기다리는 것만큼이나 절절하게 역사 시간을 기다렸다. 싫어하던 역사 공부를 열심히 하게 된 것도 부모가 강요하는 이과를 선택하지 않은 것도, 모두 선생을 계속 보고 싶어서였다. 은선이 사랑하는 선생과 그 선생이 담당하는 과목 사이에 흔히 있을 수 있는 시너지 효과가 일어났다. 그녀는 조선시대의 과전법과 직전법의 차이를 줄줄이 암기했고 교과서에도 나오지 않는 답험손실법의 구체적 규정을 모두 찾아 정리했다. 은선은 세밀하게 역사를 공부하면서 선생의 영혼 깊은 곳을 은밀히 알아가는 것 같은 착각에 빠졌다. 그녀는 과제물을 걷어 가서 선생을 한 번 더 볼 때마다, 또 지시 사항을 들으며 가까이 서 있을 때마다 기쁨에 어찌할 바를 몰랐다.

은선이 가장 기다리는 순간은 선생과 눈높이를 같이 하고 ‘차렷, 경례’라는 구령을 붙일 때였다. 앉아 있는 친구들 위로 선생과 자신만 존재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인사를 나누는 짧은 시간에 은선은 온전히 선생과 하나가 된다고 믿었다.

그래서였다. 은선은 그 날, 가슴이 너무 뛰어 선생의 얼굴을 보고 ‘차렷’이라는 말을 할 수가 없었다. 일어서기는 했으나 감정 조절이 되지 않아 입이 열리지 않았다. 선생을 사랑하는 마음이 십대들의 터질 듯한 몸처럼 터무니없이 부풀어 올랐다. 일어서서 멍하니 있다가 친구들의 웃음이 터진 후에야 간신히 차렷이라는 말을 뱉었다. 울어버릴 것만 같아 ‘경례’라는 다음 말을 발음할 수 없었다. 은선의 마음을 알고 있는 친구들이 박장대소했다. 소녀의 마음을 모르는 선생은 의아한 표정을 지었다. 다시 차렷을 시도했다. 목소리가 소프라노 톤으로 높이 떠서 나왔다. 친구들이 더 크게 웃었다. 선생은 출석부를 반듯하게 세워 비스듬히 몸을 기댔다. 은선은 그 모습을 보고 또 다시 심장이 내려앉았다. 지나치게 달아오른 얼굴이 어느 순간 목에서 떨어져 나가 풍선처럼 날아가 버릴 것만 같았다. 다시 음성을 내기 위해 기를 썼다. 하지만 끝내 ‘경례’라는 말을 할 수 없었다. 선생은 은선을 대신해 구령을 붙였다. 친구들이 큰 소리로 인사했다. 은선은 안타까워 견딜 수가 없었다. 선생에게 멍청한 모습을 보인 것 때문에 화가 났다. 여전히 자리에 앉지 않은 은선에게 선생은 ‘이제 그만’ 앉으라고 권했다. 교실이 또 다시 웃음바다가 되었지만 어쩐지 은선은 앉을 수가 없었다. 뒤를 돌아보다 바위가 되어버렸다는 전설 속 아둔한 여인처럼 다리가 굳어버렸다. 선생의 얼굴은 엄해져 있었다. 그가 다시 말했다. 앉아라. 친구들은 이제 웃지 않았다. 선생은 입술에 닿은 머리카락을 잘근잘근 씹고 있는 은선을 기분 나쁘게 쳐다보았다. 주변에서 웃음을 터뜨리던 친구들 중 누구도 선생에게 상황을 설명해주지 않았다.

아니, 이미 그럴 수 없었다. 나는 결코 돌이킬 수 있는 성질의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누구의 의도도 허락하지 않은 채 내 길을 가고 있는 나를 예측하거나 처리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나는 그악스럽게 그 자리를 점유한 채 숨을 죽였다. 은선은 말을 듣지 않는 자신의 다리를 저주하고 있었고 선생은 제멋대로 움직이려는 자신의 몸을 경멸하고 있었다. 하지만 둘 모두 야들야들한 여고생들의 살 냄새에 취한 나를 더 이상 어찌할 수가 없었다. 나는 선생의 오해와 소녀의 격정이 충돌할 것을 예상하면서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었다. 은선의 가까이로 다가온 선생은 겨우 선생일 뿐인 자신의 인생을, 어쩌면 더 나은 꿈을 펼칠 수도 있었을 자신의 인생을 후회라도 하는 듯 무겁게 가라앉은 목소리로 다시 한 번 앉을 것을 지시했다. 하지만 은선은 자신이 왜 앉을 수 없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억울한 얼굴을 선생에게로 돌렸을 뿐이었다. 억울함을 건방짐으로 이해한 선생은 마지막이라는 듯 한 번 더 앉을 것을 명령했다. 가까스로 자제하고 있기는 했지만 그는 이미 나를 외면할 수 없는 상태에 와 있었다. 똑같은 수업 내용, 야간 자율학습의 피곤, 박봉, 그리고 밀린 고지서와 같은 것들이 선생의 이마 주름 깊숙이 자리를 잡았다. 나는 심호흡을 하고 반듯하게 그의 옆에 섰다. 물론 은선을 동정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언제나처럼 내겐 아무런 힘도 없었다. 소녀의 눈물 어린, 설움 가득한 얼굴이 기어이 선생을 터뜨려 버리고야 말았다. 두텁게 더께 앉은 일상과 꿈의 켜들이 일제히 갈라지고 있었다.

은선은 머리라고 해야 할지 뺨이라고 해야 할지 정확하게 지칭할 수 없는 곳을 맞았다. 얼핏 보기에 심하게 꿀밤을 맞은 것처럼 보이기도 했지만, 거기에 있는 것은 분명히 나였다. 교묘하게 경계가 흩트려졌어도 때리는 사람이나 맞는 사람 모두 그것이 정확히 나와 관계되어 있다는 것을 모르지 않았다. 내가 두 사람 사이에 제대로 자리를 잡는 순간, 둘의 입장은 순식간에 바뀌어 버렸다. 선생은 겁에 질렸고 제자는 당돌해졌다. 나는 물을 묻히지 않고도 물 위로 미끄러지는 소금쟁이처럼 가뿐하게 둘 사이를 오갔다. 초조해진 선생은 은선의 어깨를 잡고 억지로 자리에 앉히려 하였다. 그러나 바로 다음 순간, 나는 뜻밖의 모습으로 선생과 뒤엉키고 말았다. 절규에 가까운 은선의 비명이 뒤따랐는데, 선생의 볼에는 은선이 그간 경멸해 마지않았던 나의 자국이 생겨 있었다.

평생을 은선의 주위에서 어정거렸던 나로서도 결코 예측하지 못한 순간이었다. 나는 자진해서 나를 받아들인 은선 때문에 흥분하였으며, 자주 있지 않은 신선한 경험 때문에 잔뜩 들뜨고 말았다. 그 순간의 내 자취는 아름답진 않았지만 꽤나 정열적이었으며, 성숙하진 못 했지만 실로 감동적이었다. 곧 바로 후회하기 시작한 은선은 스스로를 저주하느라 정신이 없었지만, 나는 은선이 나를 인정했다는 사실 때문에 뿌듯하기 이를 데 없었다. 나는 마치 술에 취한 것처럼, 약간의 자괴감을 숨긴 채 호탕하게 기뻐하였다. 어쩐지 그 순간 이후로는 여태껏 한 번도 원해 본 적이 없는 것조차도 원할 수 있게 될 것만 같은 기분이었다.

좀 더 세상을 오래 산 선생이 먼저 정신을 차렸다. 볼이 빨개진 그는 더 이상 억지로 은선을 앉히려 하지 않았다. 그는 은선과 나의 관계보다 자신과 나의 관계에 대해 더욱 민망해 하는 것 같았다. 선생은 그에게 남겨진 나의 흔적에 대해 은선을 나무라고 싶지 않은 모양이었다. 선생은 자습이나 하라는 말을 남기고는 허둥지둥 교실을 나갔다.

은선은 비통한 얼굴이었다. 변명이라도 했어야 하는데 아무 말도 못 해서인지, 그대로 죽어버렸으면 좋겠다는 표정을 하고 있었다. 그녀는 순식간에 내게 방어적인 태도를 취했다. 나 같은 건 잠시도 가까이 하고 싶지 않았다는 듯 냉담해졌다. 어지간한 일에는 기죽지 않는 나였지만, 바로 전의 흡족한 마음 때문에 얼마간 서운하지 않을 수 없었다. 나는 은선을 위로해주고 싶다는 마음과 별개로 심술을 부리기 시작했다. 은선이 나를 밀어낼 처지는 아니라는 것을 상기시켜주기에 모자라지도 과하지도 않은 내 웃숨 소리가 그녀의 위벽을 자극했다. 은선은 배를 움켜쥐고 토할 것처럼 웩웩거리기 시작했다. 후덥지근한 여름 낮의 교실은 지나치게 조용했다. 그 흔한 매미 소리 하나 들리지 않는 가운데 어디선가 아주 작은 소리의 감탄사 하나가 흘러나왔을 뿐이다. 저런!



의사는 부드러운 목소리로 은선에게 사과한다. 귀에 물이 들어간 것처럼 먹먹한 상태 때문에 마치 먼 곳에서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환자분께서 어떤 점이 마음에 안 드셨는지 모르지만, 그만 화를 푸시죠.”

딱 이 만큼이었다면 은선은 그대로 발길을 돌려 병원을 나섰을 것이다. 원래도 소심한데다 몸까지 아프니 만사가 귀찮아서라도 그대로 물러서는 게 가장 자연스러운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의사의 다음 말에 은선은 또 한 번 몽니를 부리게 되고 만다.

“우리 간호사가 여태 환자분하고 문제를 일으킨 적은 한 번도 없었는데…….”

그 말에는 간호사가 상식적이라는 뜻과 은선이 비상식적이라는 뜻이 함께 들어 있었고, 은선이 공연히 이상한 행동을 하여서 사실상 분란을 일으켰다는 비난이 암시되어 있었다. 은선은 버찌를 탐냈던 어린 시절부터 병원에 있는 지금까지 억울하게 나와 마주쳐야 했던 모든 순간들을 떠올린다. 이들은 늘 이런 식이다. 양보하는 척하면서 실은 경멸하고, 깍듯하게 대하지만 먼지만큼도 여기지 않는다. 은선은 온 몸의 힘을 쥐어짜내 목소리를 내고자 한다. 도저히 이대로는 그만둘 수가 없다. 그럴 것이다. 내가 있는 한 은선은 가기로 예정되어 있는 곳까지 반드시 가야만 할 것이다. 결국 얼마간 추할 수밖에 없는 막다른 곳까지 가보아야만 끝이 날 것이다. 그녀는 성대 깊이 막혀 있던 솜뭉치를 필사의 의지로 뽑아낸다.

“그래서 환자 아무에게나 반말을 지껄이나요?”

드디어 말이 터져 나온다.

“몸도 아파 죽겠는데, 내 돈 내고 치료 받으러 와서, 내가 왜 길에 굴러다니는 쓰레기만도 못한 취급을 받아야 하죠?”

드디어 항변을 시작한 은선은 그러나 열에 들떠 자신이 무슨 말을 하는 지 제대로 알 수가 없다. 앞뒤가 맞게 말하고 있는지, 이유를 충분히 밝히고 있는지, 스스로 떠드는 말의 갈피를 잡을 수가 없다. 병원 특유의 알코올 냄새와 각종 세균을 뿜어내고 있을 환자들의 구취, 몸 냄새가 은선에게 멀미를 일으킨다. 은선은 악을 쓴다.

“왜 아무한테나 반말을 쓰냐고? 왜 아무 짓도 안한 나를 괴롭히냐고!”

은선은 자신에게 반말을 지껄였던 간호사를 향해 보란 듯이 정확한 반말을 던진다. 신경질적으로 생긴 그 간호사가 사람들에게 내내 뒷말을 잘라먹으며 불쾌하게 대했던 것을 다들 알고 있을 것이다. 간호사는 은선이 진료를 위해 지루하게 기다린 시간, 열에 들뜬 머리, 미치도록 아픈 귀, 찢어질 듯한 목 등 모든 것에 책임이 있음에 틀림없다. 은선은 암기라도 하듯 그런 사실을 반복해서 머릿속에 나열한다. 간호사는 분명히 나쁜 사람이다. 나쁜 사람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은선은 사실, 반말 같은 것이 중요한 빌미가 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그것이 간호사의 인격이라 할 수도 없고, 또 그렇다 한들 은선이 그것을 탓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는 것도 안다. 하지만 그 자리에는 은선도 눈치 채지 못하게, 다른 아무도 모르게, 힘을 주고 있는 내가 있었다. 이미 그 자리에 있었던 나는 다른 어느 곳으로도 갈 수가 없었다. 은선도 마찬가지다. 어린 시절 뭉크러진 버찌를 손에 들고 모퉁이까지 또 집까지 도망쳤던 그때처럼, 은선은 뒤돌아볼 수 없는 길을 달렸던 것이다. 그녀는 혼신의 힘을 다해 억지로 이유를 만들어낸다. 이 여자가 환자를 함부로 대했다구요! 하지만 다른 환자들은 자신들은 그런 취급을 받지 않았다는 듯 멀뚱히 앉아 있을 뿐이다. 마치 간호사가 은선에게만 반말을 했으며, 아마도 타당한 이유가 있어서 그랬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듯 조용하다. 환자들도 얄밉고, 의사, 간호사들도 모두 한통속이라는 생각이 든다. 은선은 병원에 있는 모두를 욕하고 싶다. 아프고 나약한 사람들은 절대 서로 뭉치지 않는다. 항상 멍청하게 입을 벌리고 벌어지는 상황에 몸을 내맡길 뿐이다. 그들 때문이다. 그러니까 은선은 나라도 끌어들여 이런 말도 안 되는 상황에 말이 안 된다는 말이라도 하고 싶었던 것이다. 은선은 고집스러운 말의 성, 그래서 더 초라해져 가는 의미의 성을 쌓는다. 의사가 귀찮아 죽겠다는 표정을 지으며 은선을 만류한다.

“환자분, 진정하시죠. 김 간호사, 사과드려. 다른 환자들도 있으니…….”

간호사는 어이가 없다는 표정이다.

“그게 아니라…….”

“뭐가 그게 아니라는 거지? 어서 사과부터 하라고. 사과해.”

은선은 머리가 아파 견딜 수가 없다. 이대로 더 뜨거워지다가는 성냥개비처럼 순식간에 머리에 불이 붙어버릴 것만 같다.

“선생님, 그게 아니라…….”

간호사가 울먹인다. 은선은 끝까지 잘못을 시인하지 않는 간호사를 바라보다가, 갑작스레 고개를 돌려 내 눈을 똑바로 응시한다. 몸을 웅크린 채 은선과 다른 사람들의 다툼을 흥미롭게 구경하고 있던 나를 말이다. 나는 은선의 시선을 피하지 않는다. 결국 그녀도 정상이 아닌 몸 상태를 핑계 삼아 내가 활약하는 것을 보게 되어 얼마쯤 기뻐하고 있었을지 모른다. 나는 은선을 향해 어색하게 웃는다. 그녀는 자신이 옳았다고 믿고 싶어 한다.

하지만 은선은 더 이상 서 있을 수 없을 정도로 격하게 몸이 떨리는 것을 느낀다. 커다란 쇠망치에 머리가 짓이겨지고 있기라도 한 듯 두통이 극에 달한다. 혈관이며 세포가 죄다 터져 나가버릴 것만 같다. 떨리던 다리, 지끈거리던 머리, 힘 하나 없던 근육들이 일시에 같은 지점에서 만나 딱 멈추어서는 순간, 은선은 그대로 쓰러지고 만다. 누군가의 비명이 들린 것 같은데, 은선은 그 와중에도 자신이 내지른 것은 아닐 거라는 생각을 잠시 하며 그대로 기절하고 만다. 내가 있던 자리의 끝이 대개 그렇듯, 순간 조용해지면서 무의미해지고 만다.



은선은 그야말로 간신히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몇 달을 더 선생의 얼굴을 봐야하는 일은 참을 수 없이 고통스러웠다. 입 안 가득 넘어온 토사물을 뱉어내지 못하고 도로 삼켜야만 하는 상황처럼 곤욕스러웠다. 은선은 버텨내기 위해 기억을 뭉개버렸다. 반짝거리는 배지를 달고 있던 키 큰 헌병도, 자신이 진심으로 좋아했던, 그리고 아마도 자신을 꽤 좋아했던 친구도, 역사 선생님도 모두 잊으려고 애를 썼다. 무엇보다 추억들과 함께 모습을 드러낼 내가 두려웠기에, 사력을 다해 기억을 지웠다. 쉽지 않았지만 나를 못 본 체해야만 살 수 있었다. 그렇게,

살아왔다. 여러 여자를 사랑하는 남자 친구를 견뎌야 했을 때도, 직상 상사 간의 싸움 때문에 엉뚱하게 피해를 입었을 때도, 애초부터 흐릿한 윤리를 마지못해 따라가야만 했을 때도 은선은 나와 마주치지 않기 위해 애를 썼다. 결코 내게서 급습을 받는 일이 없도록 세심하게 주위를 살폈고, 우직하게 노력했다. 아마 이렇게 몸이 아프지만 않았더라면, 정신이 혼미해질 만큼 열에 들떠 있지만 않았더라도, 은선은 한동안 더 나를 멀리할 수 있었을지 모른다. 나를 제대로 보지 않는 상태로 오롯이, 살아 있는 것 같지 않은 삶을 살아나갈 수도 있었을 것이다.



깨어났을 때, 은선은 병원의 간이침대에 누워 수액을 맞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동시에 자신이 의사와 간호사를 향해 소리를 지르다 쓰러진 기억이 떠오르면서 겸연쩍어 어찌할 바를 모른다. 벌써 해가 진 것인지, 창밖이 캄캄하다. 혼자 낯선 병원에 누워 있는 것은 아닌가하는 생각 때문에 무서움이 몰려온다. 당장 나가고 싶지만 팔에 꽂힌 바늘을 빼낼 수가 없다. 은선은 작은 소리로 사람을 불러 본다.

“저기요.”

딱히 누구를 지칭하지는 않지만, 누군가를 부르는 게 분명한 소리를 내며 은선은 신기하게 몸이 좋아진 것을 느낀다. 우선 침 삼키기도 어렵던 목이 가라앉았음을 알 수 있다. 열도 내린 것 같다. 더 이상 몸이 떨리지 않고, 두통도 사라졌다. 수액의 위력이 이렇게 대단한 줄 몰랐다. 은선은 팔과 연결된 투명한 비닐 주머니를 보며, 나를 떠올린다. 어떻게 나와 함께 그런 진창을 뒹굴 수 있었는지, 무안하기 짝이 없다.

쪼그라든 수액 주머니와 팔에 꽂혀 있는 바늘을 번갈아 바라보며 상황을 파악해 보려고 애를 쓰는데, 김간호사라 불리던 그 간호사가 들어온다.

“좀 어때요?”

더 이상 반말이 아닌 존댓말이다. 은선은 대답할 말이 없어 입술만 달싹이다 몸을 일으킨다. 몸이 나아진데다 푹 자고 일어났기 때문인지, 잠시 낙관적인 기분에 사로잡힌다. 나를 외면하려고만 했던 원래의 은선으로 돌아가고자 한다. 그녀는 내가 자신의 어깨에 살며시 손을 두른 것을 눈치 채지 못한다. 오래전부터 내가 함께 있었고 앞으로도 언제나 그녀와 함께 있을 것임을 인정하지 않는 그녀가 가엽다. 나는 아득한 영원에 닿아있는 나의 길을 목도리처럼 그녀에게 둘러 준다. 은선이 나를 받아들이든 받아들이지 않든, 나는 끝까지 그녀와 함께 할 것이다. 그럴 수밖에 없을 것이다. 간호사가 바늘과 수액 주머니를 정리한다. 은선은 자신과 간호사 사이에 내가 있었다는 사실을 부끄러워한다. 이 모든 것이 악의를 품고서 무례하게 자신을 몰아붙인 나 때문이었다고 생각한다. 은선은 결코 끝없이 반복되고 재생되는 나를 이해하려 하지 않는다. 나는 살짝 약이 오른다.

“네 시간쯤 주무셨어요.”

간호사는 부드럽게 말하지만 표정은 여전히 부루퉁하다. 은선은 이불을 걷고 일어난다.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몸이 가뿐하다.

“저, 아까…….”

은선은 나에 관해 말을 꺼내려다 멈추고 만다. 그렇게 격렬했던 감정에 대해 죄송하다든가 실수라고 한다면, 모든 게 지나치게 가벼워지고 말 것 같아서다. 은선은 자신이 경솔해서 내게 의지한 것이 아님을 설명하고 싶다. 결코 성격이 나쁘거나 거만한 사람이 아니라고 해명하고 싶다. 하지만 변명할 수 없음을 깨닫고 쉽게 포기한다. 감정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모르지 않기 때문이다. 아직도 붓기가 가라앉지 않은 간호사의 왼쪽 뺨이 가시처럼 눈에 와 박힌다. 은선은 자신의 힘이 그렇게 세었던가 싶어 다시 자괴감에 빠진다. 여전히 무뚝뚝한 얼굴을 하고 있던 간호사가 답답하다는 듯이 말을 받는다.

“알아요. 환자분 중이염 상태가 심해서 그렇대요. 항생제랑 투여했고, 약도 제가 대신 받아뒀으니 드시고 나면 괜찮을 거예요.”

“네?”

은선은 간호사의 말을 쉽게 알아듣지 못한다.

“제가 반말을 쓴 게 아니라, 손님 귀 상태랑 몸 상태가 좀 안 좋으셨던 거예요. 물론 제가 사랑니 때문에 제대로 발음하지 못한 탓도 있어요.”

간호사는 자신의 일그러진 얼굴이 치통의 반증이기라도 하다는 듯 은선을 똑바로 바라본다. 그러고 보니 간호사의 왼쪽 볼은 맞아서 부은 것이라고 하기에는 지나치게 불거져 있다. 은선은 주변을 맴돌던 나를 와락 움켜잡는다. 그녀의 작고 축축한 손이 내 목을 세게 옭죈다. 나는 나를 못 보고 있는 것 같았던 그녀가 정확하게 나를 잡았다는 사실이 과히 유쾌하지만은 않다. 종종 그랬듯 나는 아무런 대비도 하지 못했다. 숨을 쉴 수가 없다고 호소하려 한다. 하지만 은선은 손에 힘을 더해 내가 한 마디도 할 수 없게 만든다. 일곱 살 꼬마 때부터 이미 내 길에 들어와 있었던 그녀를 쫓아다니느라 나 역시 힘들었다는 말을 해야 하는데, 그녀의 힘이 어찌나 센지 꼼짝을 할 수가 없다. 나는 헌병을 때렸던 상사와 은선의 친구, 선생님, 그리고 다른 많은 일들에 대해서 해 줄 수 있는 말이 아주 많다. 은선이 원한다면 죄다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일들이 그러한 것처럼 그 어떤 것도 무화시켜버리는 우연의 길 위에서, 변명과 치졸함이 난무하는 필연의 길 위에서 나 역시 새로이 진화하는 나를 보았을 뿐이라고. 내가 나를 낳았고, 그 내가 또 다른 나를 낳았으며, 영원히 낳고 낳았을 뿐이라고. 조금씩 다르지만 거의 비슷하고, 비슷하지만 또 조금씩 다른 그 안개 낀 길에 대해 나는 할 수 있는 말이 아주 많았다.

하지만 지금, 은선은 듣고 싶어하지 않는다. 모든 지식을 다 가지고 있으면서도 정작 스스로를 알지 못하는 백과사전처럼 몽롱한 나에 대해, 자기자신을 파괴하기 위해 가장 시시한 제스처도 마다하지 않는 나에 대해, 그리고 받아들이고 싶은 것만 받아들이다가 종종 우스워지기도 하는 나에 대해 아직도 거리를 두고 싶은 것이 분명하다. 은선은 쩔쩔매며 옷을 찾아 입고, 간호사에게 고개를 까딱한다. 사랑니로 부은 간호사의 뺨을 다시 보지 않기 위해 서둘러 병원을 나선다. 은선은 이제 다시 나를 멀리 쫓아버린다. 나를 조금쯤 알게 되었을 텐데도 그녀는 여전히 고집을 부린다. 나는 세게 눌린 목을 주무르며 기를 쓰고 그녀를 쫓아간다. 은선은 평소처럼 발걸음을 재게 놀려 나로부터 도망간다. 쫓는 자와 쫓기는 자 간에 유의미한 간격이 생긴다. 나는 은선이 들으라고 큰 소리로 내 이야기를 한다. 아주 조금 가벼울 수 있는, 하지만 결코 우습지는 않은 나, 따귀에 관한 이야기를 말이다.



끝. <원고지112매>



















2015년 7월 15일 수요일

Wanted a good Translator

The 3 ways are translated by a good translator.

[Given~~] is translated by myself.

I really need a good translator.

Novel Ahjin

Finally I decided to come out.

The way I talk to (and maybe hear from) the world is writing including minifictions, short stories, novels and so on.

I am not sure how long I can reveal myself.

But this is a start.




사이렌

사이렌
심아진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서, 남자는 요란한 사이렌을 울리는 경찰차에 완전히 시선을 빼앗긴 채 걸음을 멈추었다. 파랑, 빨강으로 점멸하는 경고등을 통해 금세기를 뒤흔든 미해결 사건의 전말이라도 캐겠다는 듯, 남자의 시선은 열렬했다. 하지만 곧 무심하나 끈질긴 도시의 소음과 풍경이, 공간을 장악했던 경찰차의 흔적을 없애버렸다.
보행하는 사람들을 배려하며 천천히 우회전을 하던 내 눈에 남자가 들어왔다. 횡단보도를 건널 참이었던 그는 안간힘을 다해 후줄근함을 떨쳐내고 있는 청회색 양복을 입고 있었고, 닦을 날을 미루기만 했을 허름한 구두를 신고 있었다. 경찰차가 사라진 방향으로 아직도 소심하게 고개를 돌린 채 서 있는 남자는 돌아갈 길을 잃은 애완견처럼 불안해보였다. 나는 쥘 이유도 펼 이유도 없어 보이는 그의 손가락들이 나른하게 흔들리는 것을 유심히 바라보았다.
 
그날 밤, 나는 남편과 잠을 자다가 누군가가 어깨를 흔들어 깨우는 바람에 일어났다. 이 봐, 물 좀 줘. 남편과 비슷하게 생긴 그는 당당하게 말하는 것만이 기선을 제압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듯 거침없이 내게 요구했다. 나는 곧 그가 오래 전에 돌아가신 남편의 아버지, 곧 내 시아버지란 것을 알아보았다. 자기 전에 켜 둔 수면등이 비교적 선명하게 그의 모습을 비춰내고 있었다. 정수기에서 물 한잔을 받아 시아버지에게 건네주자 그는 급하게 물을 들이켜고 말했다. 생활이 나를 살렸다. 먹고 살기 빠듯했으니까, 다른 것은 생각하지 않았어도 괜찮았단 말이다. 나는 남편이 자주 ‘생활’을 언급하곤 한다는 사실을 떠올렸다. 시아버지는 제 자리를 찾지 못한 애정 따위를 다급하게 몰아내기라도 하려는 사람처럼, 물방울이 묻은 입언저리를 닦아내고는 남편의 옆에 반듯이 누웠다. 잠이 깨서 다시 잠들기 어려워진 나 따위는 아랑곳 않는다는 듯, 시아버지는 금방 코를 골았다.
고단하기 짝이 없는 하루였다는 것을 떠올리며 나는 다시 잠을 청했다. 낮에 보았던 남자의 모습이 떠올랐다. 아니 어쩌면, 계절이 돌아올 때마다 억지로 안도하며 꺼내곤 하였을 옷과 신발이 생각난 것뿐인지도 몰랐다. 그것들은 모두 절망적인 빛깔을 띠고 있었다. 그리고 일순 순결해진 거리가 떠올랐다. 울퉁불퉁한 감정들을 다양하게 소통시키던 사람들은 경찰차가 대로를 거침없이 가로지르는 순간, 지극히 단순해졌었다. 하나의 거대한 소리가 자존심을 버리는데 익숙한 사람들의 앵앵거리는 목소리를 한꺼번에 삼켜 버렸던 것이다. 나는 그 정적을 참을 수 없다고 느끼며 괴로워하다가 까무룩, 다시 잠이 들었다.
또 한 번 누군가가 나를 깨운 것은, 하염없이 신발을 벗었다 신었다 하는 꿈을 꾸고 있는 와중이었다. 소의 연골처럼 생긴 것을 무릎에 덕지덕지 바른 늙은 여자가 내 얼굴에 코를 들이밀고 있었다. 나는 그녀의 손에 묻어 있던 뽀얀 것이 내 잠옷의 어깨 부분에도 조금 묻었다는 사실에 신경이 쓰였다. 하지만 여자는 아픈 무릎이 자랑스럽지 않을 이유는 없다는 듯 득의에 찬 표정으로 내게 말했다. 배우지 않았기에 살 수 있었다. 세상이 어찌 돌아가는지 알았다면 애들을 키워내지 못했을 거다. 그녀는 나를 미워하지 않는 척하기 위해 원래 자신의 표정을 잃어버린 내 시어머니였다. 남편은 늘 어머니의 무릎을 안쓰러워했었다. 나는 남편의 옆에 잠들어 있는 시아버지를 곁눈질하며 아까처럼 물이라도 떠와야 하지 않을까 생각했다. 시어머니는 내 생각을 알았는지 차갑게 말했다. 냉수라면 마실 만큼 마셨다. 내 아들이 너와 결혼할 때부터 말이다. 시어머니는 거칠고 주름진 손으로 잠든 당신 아들의 얼굴을 쓸었는데, 그는 감은 눈을 씰룩였을 뿐 잠에서 깨지는 않았다. 시어머니는 남편과 시아버지의 틈을 비집고 들어가 그 사이에 누웠다.
나는 이제 더 이상 잘 수 없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내 자리에 도로 누웠다. 침대가 너무 비좁았다. 그러니까 두 명이 자면 딱 맞는 침대에서 네 명의 어른들이 자고 있었던 것이다. 그 바람에 남편의 살이 내게 아주 많이 닿았는데, 그의 피부는 땀이 배어 나와 끈적거리고 있었다. 나는 극도로 예민해져서 누군가가 또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단번에 알아차렸다. 그는 시아버지보다 더 늙었지만 시아버지와 닮은 얼굴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시아버지의 아버지인 것 같았다. 뭐가 필요하세요? 나는 일어나 앉으며, 그가 나를 두드리거나 흔들지 않아도 내가 이미 깨어 있다는 것을 알렸다. 우리 시절엔 말이다. 그는 ‘우리’의 ‘우’자를 약간 세게 발음했는데, ‘우리’를 강조하고 싶어서라기보다는 그저 그렇게 말하는데 더 익숙하기 때문인 것 같았다. 나는 침대에서 내려와 약간 다소곳해 보일 수 있겠다 싶은 자세로 섰다. 그러니까 어떤 명령이라도 달게 받을 수 있는 사람처럼 두 손을 앞으로 살짝 모으고 섰던 것이다. 하지만 시아버지의 아버지일 것이라 짐작되는 사람은 내게 아무것도 부탁하거나 명령하지 않았다. 우리는 고기도 낚았고, 장기도 두었고, 장례도 치렀고, 닭도 잡았다. 물론 가끔은 아편 같은 걸 하다가 패가망신하기도 하고 투전판에서 가산을 탕진하기도 했다. 아무튼 우리는 늘 우리였다. 나는 그가 강조하는, 그리고 평소 남편이 지나친 집착을 보이기도 하는 ‘우리’를 이해할 수 없다는 뜻으로 팔짱을 꼈다. 아마 다소 건방져 보이는 동작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내가 공감하든 공감하지 못하든 상관없다는 듯 나의 자리, 곧 남편의 오른쪽을 차지하고 누워버렸다. 우리였던 당신의 시절엔 늘 그렇게 하는 게 자연스러운 일이었다는 듯이. 졸지에 자리를 빼앗긴 나는 일렬로 늘어선 발을 바라보며 침대 아래쪽에 서 있었다. 하얗거나 붉거나 시커먼 발바닥들은 각자의 개성에 맞추기라도 한 듯 다양한 모양의 굳은살들을 보유하고 있었다. 나는 하릴없이 내 두 발을 비벼댔다. 달리 할 수 있는 일은 없어 보였다. 내 착각을 짚어주지 않을 수 없다는 듯, 시아버지의 아버지는 잠들기 전에 잠꼬대처럼 한 마디를 더 했다. 나는 네 시아버지의 아버지가 아니라 시아버지의 큰아버지다.
나는 잠을 아예 포기해 버리고 침대에 누운 네 사람을 바라보았다. 그들은 잠자는 연기를 하는 사람들처럼 아슬아슬한 표정이었는데, 정말 잠이 든 것인지 잠자는 척을 하는 것인지는 알 수 없었다. 나는 남편의 오른손을 잡고 있는 시아버지의 큰아버지의 왼손, 남편의 왼손을 잡고 있는 시어머니의 오른손, 그리고 시어머니의 왼손을 잡고 있는 시아버지의 오른손을 혼란스러운 기분으로 바라보았다. 그들은 앞사람을 놓치지 말라는 잔소리를 수도 없이 들은 유치원생들처럼 서로의 손을 꼭 부여잡고 있었다. 침대 양 옆에 늘어진 시아버지의 큰아버지의 오른손과 시아버지의 왼손 중 하나를 내가 잡아주어야 하는 게 아닐까 생각하고 있는데, 갑자기 두 사람이 나타났다. 그들 모두 사진으로 본 기억이 있었다. 제 남편의 선생님들이시죠? 그들은 기특한 제자를 바라볼 때 짓는 흐뭇한 표정으로 나를 보며 고개를 끄덕였다. 비록 내가 그들의 제자는 아니지만 제자의 아내라면 제자나 마찬가지라고 생각하는 것 같았다. 그 중 머리가 벗겨진 선생이 피곤하다는 듯 손바닥으로 이마를 비비며 입을 열었다. 난 다 알려줄 수는 없었다. 나 역시 내가 배운 한도 내에서 가르칠만한 것을 가르쳤을 뿐이다. 어쩐 일인지 나는 좀 화가 나서 따지듯 물어보았다. 어떤 기준에서 가르칠만한 게 있고, 가르칠만하지 않은 게 있다는 겁니까? 다른 선생이 대머리 선생을 대신해 비감에 찬 목소리로 대답했다. 우리 역시 왜곡된 것을 왜곡된 것인지 모르고 배웠을 뿐이야. 우리는 그저 배운 대로 가르쳤을 뿐이라니까. 또 우리군요. 그들은 내가 왜 ‘우리’에 민감해하는지 알지 못했고, 알려고도 하지 않은 채 애원조로 말했다. 너무 피곤하구나. 자리를 좀 만들어주면 안되겠니? 나는 침대 왼쪽에 있는 붙박이장에서 이불과 베개를 꺼냈다. 두 선생은 침대 발치에 요를 펴고 나란히 누워 마주한 쪽의 손을 서로 잡았다. 침대에 가까이 있는 선생이 남편의 발에 손을 얹는 것을 보면서 나는 구석에 쪼그리고 앉았다. 그들은 남편의 발이라도 잡고 있다면 굳이 침대에 눕지 않아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것 같았다. 스승들이 자신을 방문했다는 것을 알면 남편은 당장 술상이라도 봐야한다며 부산을 떨었을 것이다. 나는 그가 깊은 수면 상태에 있는 것을 다행으로 여겼다.
잠을 자는 그들은 실로 다양한 소리를 냈다. 어금니를 갈거나 앞니를 딱딱거렸고, 한숨을 쉬거나 코를 골았으며 또 가끔 쩝쩝, 입맛 다시는 소리를 내기도 하였다. 여기에 더하여 침대 시트와 이불들이 처량하고 고단하게 바스락거리는 소리. 이상하리만치 고요하게 여겨지는 그 소리들을 비범하게 찢을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을 듯하였다. 하지만 내 예상은 새벽 두 시를 알리는 시계 소리와 동시에 깨지고 말았다. 아까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남편과 나의 방에 들이닥쳤던 것이다.
이제 그 밤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남편과 나의 침실로 찾아왔는지 얘기하는 것은 지루한 일이 될 것이다. 남편의 힘센 고모와 간이 좋지 않았던 외삼촌, 또 함께 다락방을 들락거렸던 사촌 형을 비롯해 담배를 나눠 피웠던 친구, 남편을 전혀 기억하지 못하는 남편의 첫 여자, 그리고 알리바이를 공유했던 직장 상사들까지, 남편을 찾아오는 사람들은 쉬지 않고 불어났다. 그들은 여럿이 소란스럽게 들어오기도 했고 슬그머니 혼자 들어오기도 했으며, 스스럼없이 내게 먹을 것이나 마실 것, 잠자리를 요구하기도 했다. 곧 냉장고는 텅 비었고, 내어줄 이불과 베개도 동이 났다. 방 안은 사람들로 가득했다. 그들은 병렬 혹은 직렬로 연결된 꼬마전구들처럼 가로로 혹은 세로로 이어지다가 나중에는 정글의 넝쿨들처럼 지그재그로 얽혔다. 누군가는 원숭이마냥 가구 위에 올라갔고, 누군가는 인간 피라미드의 맨 꼭대기를 차지하기 위해 애를 쓰기도 했다. 신기한 것은 온 방을 빼꼭히 메운 그 사람들이 어떻게든 남편의 머리카락 한 올, 옷깃 하나라도 부여잡고 있었다는 점이다. 사실 남편은 사람들의 아래에 깔려 제대로 숨을 쉬고 있는지조차 알 수 없었다. 이제 쪼그려 앉을 수도 없게 된 나는 구석에 서서 수많은 사람들이 몸을 뒤척이거나 코를 골거나 잠꼬대 하는 소리를 듣고 있었다. 소리와 피로, 소리와 잠……. 불현듯 그 몽롱한 소리의 장막들을 찢으며 생경한 사이렌이 울려 퍼졌다. 지극히 무례하게, 겹겹의 세상을 재빨리 열고 또 서둘러 닫아버렸던 폭력적인 그 소리.
 
우회전 깜빡이를 넣으며 핸들을 꺾고 있던 나는 한 남자를 보았다. 그는 내가 잘 알고 있는 남자이기도 했고, 내가 전혀 알지 못하는 수많은 남자이기도 했다. 경찰차가 삐용거리며 사거리를 크게 돌았던 그 짧은 순간, 나는 남자가 자신의 방어적인 일상을 잠시라도 잊기 위해 일부러 호기심어린 표정을 짓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경찰차의 소리에 몰입한 그의 모습은 길고 복잡한 역사를 고의적으로 단순해 보이게 만들려는 듯 작위적이었다. 그러나 나는 그에게서, 피가 뚝뚝 떨어지는 손으로 짧은 시간을 그러쥔 채 자신에게 엉켜든 것들로부터 간절히 자유로워지고 싶어 하는 한 인간을 보았다. 그것은 썩 유쾌하지 못한 장면이었다. 사실, 이미 돌이킬 수 없이 후줄근해져버린 청회색 양복이나 영영 닦지 못할 구두만큼 남루한 장면이었다.
엑셀을 밟아 속도를 내면서 나는 내가 커다란 눈물 한 방울을 흘렸다는 것을 알았다. 내가 흘린 게 눈물 따위는 아니라고 변명하고 싶었지만, 결국 그럴 수 없었다. 남자는 내 남편이었고 또 수많은 다른 이들의 남편이었으며, 그리고 너무나 명백하게도 나 자신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소리가 난 쪽으로 목을 길게 뺐다가 매우 아쉽다는 듯 천천히 고개를 돌리는 남자가 백미러 속에서 점점 작아지는 것을 보았다. 세상을 여는 뻔뻔한 사이렌 속에 무언가 소중한 것이 숨어 있을지 모른다는 듯 남자의 표정은 진지했다. 쥘 이유도 펼 이유도 없어 보이는 그의 손가락들이 자조하는 소리가 크게 들리지 않은 것은 그나마 다행한 일이었다.

나를 안다고 하지 마세요

나를 안다고 하지 마세요
심아진
 
조심해야 합니다. 발이 땅에 닿으면서 생기는 진동이 아기 지빠귀들을 깨우지 않도록. 귀 끝에서 떨어져 나간 무분별한 털 하나가 멀리 있는 어미 지빠귀의 코를 간질이지 않도록. 조용히 빠르게, 오솔길을 가로지릅니다. 언 땅을 뚫고 나오느라 녹지근하게 몸이 풀어진 풀들은 내 무게를 불만스러워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관심을 보이네요. 거기 좀 더 세게 밟아 봐. 그들 중 하나가 내게 특별한 주문을 하더니, 친근한 척 인사를 건넵니다. 봄이 왔네! 그러나 정신을 집중해야만 하는 나는, 아주 금방 여럿 중에 하나가 되어버릴 그 풀에게 대답할 필요를 느끼지 못합니다. 나는 살아야 하고 살기 위해 새둥우리가 있는 나무까지 가야 하므로, 다른 것들에 눈을 돌릴 여유가 없습니다. 신중한 내 발걸음은 목표한 나무를 향해 흔들리지 않습니다. 이제 속도를 냅니다. 더 빠르게. 더 민첩하게!
아기 새들은 다급한 비명 한 번 제대로 지르지 못했습니다. 나는 겨우내 완전히 소진해버린 단백질을 정신없이 보충합니다. 두 마리, 혹은 세 마리였을 텐데, 미처 세어보지는 못했습니다. 나는 그들을 보지 않습니다.
 
이제 나는 입가에 묻은 붉은 피와 보드라운 깃털 몇 개를 닦아내며 만족스럽게 돌아섭니다. 하지만 돌아서는 바로 그 순간, 나는 벌써 불안합니다. 누가 나를 본 것은 아니겠지요? 아무도, 아무도 나를 보지 못했어야 합니다. 세상 온갖 일들을 뒤죽박죽으로 섞어 버리는 너도밤나무의 가지와 잎들은 증인이 되지 못할 것입니다. 저 아래 꽃들은 자신들에게만 관심이 있을 테니 보아도 보지 않은 것과 다름 없을 것이고, 바람은 어차피 흘러서 흩어지는 노래만을 부를 테니 상관이 없습니다. 그래도 혹시 누군가가?
나는 나를 볼 수도 있는 수백 개의 눈들을 미리 두려워합니다. 당신들은 자주 내 꼬리털이 지나치게 기름지거나 야무져 보이지 않아 순수하다고 말하고, 까만 내 눈이 잔인하거나 어리석어 보이지 않는다고 칭찬합니다. 당신들은 내 근면함을 본받고 싶어하고, 열심히 나무껍질을 갉는 모습을 보고 동정을 금치 못하기도 합니다. 인간들에게 나는 당근 조각이나 잣 등 피가 흐르지 않는 건전한 것만을 먹고 다니는 꿈같은 동물입니다. 당신들은 어찌나 나를 곱게 여기는지, 다음과 같은 사항을 권고하기도 합니다.
새끼를 발견하는 경우, 따뜻한 물병과 버찌씨 쿠션으로 따뜻하게 해 주고, 꿀을 넣은 우유와 종합 영양 시럽을 먹일 것이며, 소화를 돕는 배 마사지를 해 주시오.
그러므로 나는 당신들 앞에서 씨앗이나 열매, 버섯 등을 단정하게 안고서 기꺼이 사진에 찍혀주기도 합니다. 하!
 
이제 당신들은 내가 무엇인지 알 것입니다. 그러나 당신들이 알고 있는 그것이 나라고 확신하지 마세요. 내 이름이 날다람쥐든 청설모든, 프레리도그든 슈거 글라이더든 그 어떤 것이라 할지라도 내 본질을 제대로 설명하지는 못할 것입니다. 나는 결코 당신들이 디즈니 만화영화 따위에서 그리는 작고 예쁜 인형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나는 사실 다정하지도 깜찍하지도 않으며, 맑은 이슬에 목을 축이지도 않고 초저녁 달빛에 몸을 씻지도 않습니다. 나는 생물학적인 계통을 밟았을 때 어김없이 ‘쥐’에 속할 뿐입니다. 그러므로 나는 아직 깃털도 마르지 않은 새끼 새나 이제 곧 부화를 시작하려는 알, 심지어 작은 도마뱀이나 개구리까지 아주 맛있게 먹어치울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설치류에 속하는 나는 당연히 육식도 합니다. 도토리나 호두만을 굴리는 게 아니라 떨어진 에너지를 보충하기 위해 고기도 뜯고 피도 마십니다.
때로 나는 콧수염에 검초록의 진흙이나 다른 동물의 분비물 따위를 묻힌 채 음습한 골목을 누비고 다녔던 기억을 떠올리며 밤잠을 이루지 못합니다. 때로 나는 생선뼈가 비린내를 풍기는, 대수롭잖게 잊힌 사체가 굴러다니는 시궁창에서의 끈적끈적한 밤을 그리워하기도 합니다. 당신들이 귀엽다고들 하는 표정으로 내가 무언가를 갉고 있는 것은 사실 끝없이 자라나는 아래 위 한 쌍의 앞니가 턱이나 두개골을 뚫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6천만년을 이어온 유전자의 확고부동한 명령 때문이지요. 그러므로 내게는 천형인 그 행위를 놓고 당신들이 귀여워 죽겠다는 표정을 지을 때, 나는 그저 허탈하게 웃곤 합니다. 오해를 이해로 바꾸려는 노력 따위는 더 이상 하지 않습니다.
이 모든 것들은 내가 원하지 않았어도, 또한 선택하지 않았어도 내게 있습니다. 그래, 그것이 바로 나입니다. 일정한 생활패턴을 유지하고 정해진 사유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내가, 다른 누구도 아닌 나이기 때문입니다. 나는 나입니다.
 
그러나 나는 여전히 내 앞에 아몬드나 해바라기 씨 등을 들이밀며, 쭈쭈 거리는 당신들의 편견에 찬물을 끼얹을 용기가 없습니다. 푸른 안개 사이로 고개를 내미는 나, 허공에 뻗은 나뭇가지를 따라 빠르게 이동하는 나, 슬프고 조용하게 귀를 쫑긋거리는 나를 아주 잘 안다고 자신하는 당신들을 조롱할 수 없습니다. 당신들의 평판이 내 근육에 붙어 있는 피부처럼, 이제 내 일부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피곤합니다. 하지만 사랑스럽게 나를 보는 당신들을 실망시키고 싶지 않아 나는 다시 앞니를 번쩍이며 커다란 알밤 한 알을 들어 보입니다. 미친 듯이 쳇바퀴를 돌면서 자학하지 않는 척, 즐거운 척 연기를 하기도 합니다. 우레와 같은 박수가 터져 나옵니다. 그 박수가 진심이라 나는 더욱 지칩니다. 달리 방법이 없어진 나는 엉덩이와 꼬리를 살짝 흔들어 준 후 쏜살같이 숲속으로 사라지기도 합니다. 수줍은 내 모습을 찍은 사진이 인터넷에 돌아다닙니다. 나는 먹을거리를 잔뜩 모아둔 안전한 내 동굴로 돌아옵니다. 동굴로 들어서는 순간, 나는 안심하고 늙어버립니다. 그리고 다 먹지도 못할 비축된 양식들을 보며 비겁하게 혼자 뇌까립니다.
나를 안다고 하지 마세요. 나도 나를 알지 못한답니다.

회귀

회귀
심아진

남자의 어머니는 조금도 분노하지 않았다는 듯 차분하게 비닐봉지를 뒤집는다. 그런 절도 있는 동작과는 대조적으로, 빨갛게 윤나는 사과들은 처량한 소음을 만들며 떨어져 내린다. 쉽게 멍들고 깊숙이 깨지는 소리가 거리를 울린다. 여자는 비탈길을 따라 굴러 내려가는 사과들을 무력하게 바라본다. 열 개만 사려던 것을 스무 개나 산 것이 잘못이었는지도 모른다. 여자는 자신처럼 남자의 어머니도 사과를 좋아할 것이라며 욕심을 냈었다. 남자의 어머니는 다만 사과가 너무 많기 때문에 싫어하는 것뿐인지 모른다. 여자는 그렇게 믿고 싶다.
사과들은 여자의 아쉬운 눈초리에 아랑곳없이 제 갈 길이 바쁘다는 듯 몇 갈래의 길로 흩어지고 만다.
“어머니…….”
제게 주었던 것과 똑같은 환대를 여자에게도 줄 것으로 기대했던 남자는 황망히 자신의 어머니를 쳐다본다. 짧은 속눈썹 아래 초점을 잃은 눈동자에 여태 무언가를 ‘오해’했던 자가 처음으로 ‘이해’하게 되었을 때의 무력함이 어린다. 그는 도저히 생각나지 않는 전화번호를 떠올리려는 사람처럼 진지하고 허망하다. 남자의 어머니는 당신의 무게감 있는 목소리와는 어울리지 않는 흔한 대사를 읊조린다.
“내 눈에 흙이 들어가기 전에는 안 된다.”
여자는 두 사람의 대화를 건성으로 들으며 굴러 내려간 사과들의 자취를 뒤쫓는다. 어떤 것은 첫 번째 골목으로 어떤 것은 두 번째 골목으로 꺾어져 들어갔고, 이내 시야에서 사라져버렸다. 골목이 아닌 큰 길을 따라 우르르 내려가던 사과들이 어디쯤 정착해 있을 지 궁금하지만, 도로가 굽어지면서 사과들은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남자의 집은 무심하게 높고 과도하게 경사진 곳에 자리해 있다. 스무 개의 사과 중 어느 것 하나도 여자의 발치 아래에 남지 않았다. 남자의 어머니가 좋아한다던 사과들은 남자의 어머니가 좋아하지 않는 여자 앞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여자는 결코 남자와 결혼할 수 없다는 걸 깨닫는다.
 
삼 년이 흐른다. 남자는 어머니가 좋아하는 다른 여자와 결혼한다. 삼십 년을 함께 산 어머니와의 정이 더 커서인지, 아니면 자신의 무력함을 비웃기 위함인지, 혹은 그저 인생에서 사랑 따위가 시시해져 버려서인지는 알 수 없으나, 어쨌든 남자는 여자를 떠난다. 여자는 원망하지 않는다. 조금 거칠어지고, 미약하게나마 강해졌을 뿐이다. 남자는 어머니의 집에서 가능한 먼 곳에 신혼집을 마련한다.
 
다시 삼 년이 흐른다. 다른 남자와 결혼한 여자는 사과를 먹지 않는다. 여자가 사과를 먹지 않아서 여자의 가족들도 사과를 먹지 못한다. 여자는 오로지 꿈에서만 사과를 본다. 갈색의 멍을 숨긴 도도한 사과가 꿈에서 깨어난 여자의 시간을 잠식하기도 한다. 여자는 가끔 사과가 만들어주는 멍을 가슴에 새긴다. 또 가끔은 사과가 줄 수 있을 아삭한 감촉에 군침을 흘리기도 한다. 사과를 먹지 않는 여자는, 다른 사람의 삶과 똑같은 무난한 삶이 자신에게도 전개된다는 것이 이상하게 여겨진다.
 
십 년이 더 흐른 어느 날, 남자는 대학 병원 부설의 장례식장에서 어머니를 보낸다. 그는 영정 앞에서 여자가 떠오르는 자신을, 패륜아라 생각지는 않는다. 남자는 불현듯 여자와 어머니가 대면한 날 이리저리 흩어졌던 사과의 행방을 궁금해 한다. 비탈길의 굴곡을 따라 물처럼 흘러내렸던 사과들은 어디로 간 것일까? 남자는 좀 더 빨리 사과를 찾아 나서지 않은 것을 후회한다. 늑골 아래가 쪼개지기라도 할 것처럼 아프다. 오래전에 새겨진 통증. 국화 옆의 향냄새가, 묘연했던 추억의 퇴로를 열어준다. 남자는 무방비로 옛 기억에 잠식당한다. 그는 희끗거리기 시작한 머리에 삼베 모자를 눌러 써보지만 전처럼 감정을 숨기는 일에 능숙하지 않다.
남자는 십 육년 전 사과를 샀던 곳을 찾아, 한동안 발길을 끊었던 어머니의 동네를 방문한다. 그러나 주황색 천막 아래 과일들이 풍성했던 예전의 그 가게는 없다. 대신 총각들이 모여 싱싱한 채소를 판다는 식료품점과 유기농 제품 매장, 작은 규모의 슈퍼 등에서 과일을 팔고 있을 뿐이다. 남자는 이 가게, 저 가게를 모두 거쳐 조금씩 사과를 산다. 스무 개쯤 될 것이다.
멀리서 보는 남자의 어머니 집은 예전처럼 위풍당당하지 못하다. 조만간 불합리한 값에 처분될 것을 예상하고 있다는 듯 낙담한 모습이다. 그래도 길은 여전히 가파르고 도도하다. 남자는 십 육년 전의 사과가 행여 눈에 띄지 않을까 하여 주변을 세밀히 관찰한다. 한 알의 사과는 한동안 남자의 집 매끈한 유리창을 두드렸을지 모른다. 한 알의 사과는 혹, 직장에서 유난히 승진이 빨랐던 그의 사무실 책꽂이 속에 숨어 있었을 수도 있다. 남자가 결혼한 여자와 살을 섞고 아무렇지 않게 밥을 먹을 때 그 옆을 굴러갔을 수도 있다. 사과는 또, 남자가 유유한 별 하나를 발견했을 때 남자의 구두 옆에서 지친 걸음을 멈추었을 수도 있다. 사과는 빈번히 나타나고 사라짐을 반복하며 하릴없이 남자의 주변을 맴돌았을지 모르겠다. 남자는 창백한 골목 사이에서 길을 잃었을 사과를 떠올리며 힘겹게 길을 오른다.
남자는 여자와 자신의 어머니가 함께 서 있었던 바로 그 지점에서 사과를 떨어뜨린다. 탱글탱글하던 과일들이 순식간에 생채기를 내며 길을 따라 굴러간다. 잠시 하나의 길을 가는 것처럼 보였던 사과들은 이내 천 개의 길로 흩어진다. 그것들은 비루한 일상으로부터 도망이라도 가듯 하나같이 급하다. 황망히, 수줍어하며, 길 아래로 내달리는 사과들이 있다. 작은 골목길을 따라 간데없이 사라져 버린 사과들도 있다. 골목은 심심치 않게 많고 길은 심오하게 굽어 있다. 남자의 선량함과 무거움, 소심함과 가벼움이 길을 따라 적나라하게 펼쳐진다. 남자는 잠시 화를 낸다. 하지만 자신의 주위에 남아 있지 않은 사과를 오래 원망할 수는 없다. 남자는 낮고 침울하게 여자의 이름을 불러본다.
여자는 인기 없는 영화를 혼자 보고 있다. 위염을 자주 앓는 배를 위해 하루 한 잔으로 제한한 커피를 소중히 마신다. 식구들이 모두 잠든 밤, 여자는 베란다 유리창에 어른거리는 나뭇잎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인다. 다급하게 뛰어나가다가, 꼬리가 잘린 고양이가 화단에 앉아 있는 모습을 본다. 여자는 손톱을 손질하고 화장을 곱게 한 날 서럽게 운다. 그녀는 이런 식으로 매일, 길을 따라 사라진 사과들을 생각한다. 굴러 내려가는 그 속도를 상상하고, 알 수 없는 길의 모호함을 떠 올리고, 막다른 곳의 냉담함에 부대낀다. 여자는 사과들이 흩어져 있는 자리를 잊지 않기 위해 평생, 애를 쓴다. 그것이 여자가 사과를 먹지 않는 이유다.
여자의 친구들은 사과를 먹지 않는 그녀를 이상하게 바라보았다. 자식들은 그런 여자를 부끄럽게 여겼다. 남편은 여자가 사과를 먹지 않으므로, 자주 화를 냈다. 여자는 그 모든 것을 가볍게 받아 넘겼다. 그녀의 회한 만큼 무거운 것은 이 세상에 없었기 때문이다. 위악을 떨든, 합리화로 몸을 숨기든, 체념으로 밥을 먹지 못하든, 여자에게 사과는 도저히 잊을 수 없는 무엇이었다.
 
남자가 사과를 모으기 위해 사과를 다시 흩어버린 그 날로부터 십 년이 더 지난다. 여자는 알지 못하는 시간이나, 남자에게는 지나치게 충분한 시간이다. 그러나 사실 여자가 알지 못한다는 가정은 여자의 무의식 너머에 있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의 이야기일 뿐이다. 여자는 길을 따라 뿔뿔이 흩어졌던 사과가 결국 어디서 다시 모이는지 예감하고 있었을지 모른다.
남자와 여자는 이제, 그래서는 안 되는 것들로 둘러싸인 일상이 대수롭지 않을 만큼 나이를 먹었다.
 
여자는 남자와 그의 어머니가 살던 집에 가보기로 한다. 길 아래에서부터 보였던 남자의 집은 주변 건물이 높아진 탓인지 보이지 않는다. 여자는 큰 길 대신 작은 골목길을 통해 남자의 집까지 올라가기로 한다. 사과를 비롯해 과일들을 파는 가게가 나란히 두 집 있다. 사과처럼 붉은 옷을 입고 붉은 모자를 쓴 마네킹이 서있는 의상실을 지난다. 여자는 모퉁이를 돌아 큰 길이 나오자 다시 반대편의 작은 골목으로 들어선다. 담장 위에 줄줄이 능금 화분들을 올려놓은 몇 채의 집들을 지난다. 단단한 작은 알맹이들이 규모 있게 반짝인다. 다시 큰 길과 연결되어 있는 골목 어귀에 이르자, 사과를 테마로 한 놀이터가 보인다. 여자가 걷는 길 가득 사과향이 아삭하게 퍼져 있다. 여자는 이십 육 년 전, 스물여섯 살 젊은이로 걸어갔을 때보다 더 가슴이 뛴다. 이제 겨우 작은 골목 두 개를 거쳐 왔을 뿐인데 벌써 그녀는, 걸어갈 모든 길에 무엇이 있는지 가늠할 수 있다. 하소연하지 않아도, 울거나 절규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것이 있다. 그런 나이가 있다. 여자는 이 거리 곳곳에 천 개의 길로 갈라져 내려갔던 사과들이 고스란히 그대로 있음을 알아차린다. 여자는 사과 꽃처럼 하얗게 웃는다.
남자와 여자, 그리고 남자의 어머니가 서 있었던 그 자리에 단아한 사과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파란 빛을 연하게 숨긴 빨간 사과들이 당돌하게 여자를 쳐다본다. 여자는 그 부끄러움 없는 시선 때문에 늙고 거친 피부를 발그레 물들인다. 길을 오래 돌아왔어도 남자와 여자는 너무 늦지 않았다고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여자는 작은 사과 하나를 따 베어 문다. 영겁을 회귀하여 마침내 여자에게 온 사과는 그리운 맛이 났다.
<끝>